스마트폰과 인터넷이 생활 필수품이 된 시대지만, 여전히 많은 고령층은 디지털 기기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재명 정부는 이러한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스마트폰 기초 교육, 디지털배움터 운영, 온라인 행정서비스 활용 지원 등 다양한 정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고령층을 위한 디지털 격차 해소 정책의 주요 내용을 살펴봅니다.
스마트폰 기초 교육 확대
전국의 노인복지관, 주민센터, 평생학습관에서는 스마트폰 기초 교육 과정이 운영되고 있습니다. 전화·문자 사용법, 카메라 활용, 카카오톡·영상통화 등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능을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2025년부터는 AI 음성비서, 교통·금융 앱 사용법, 온라인 병원 예약 방법 등 실생활 밀착형 강의가 추가되었습니다. 교육은 무료로 제공되며, 1:1 맞춤 지도가 가능한 과정도 운영 중입니다.
디지털배움터 운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지자체가 협력해 전국 곳곳에 ‘디지털배움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컴퓨터, 태블릿, 스마트폰 등 다양한 기기를 직접 사용하며 기초부터 심화까지 체계적인 교육을 받을 수 있습니다. 특히 고령자를 대상으로 한 과정은 천천히 반복 설명하고, 실습 위주로 진행해 배운 내용을 바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또한 교육 후에도 상시 상담과 기술 지원이 제공됩니다.
온라인 행정·생활서비스 활용 지원
디지털 환경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정부는 고령층이 자주 이용하는 행정서비스를 온라인으로 쉽게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을 안내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주민등록등본 발급, 건강보험 확인, 기초연금 신청, 병원 진료 예약 등을 스마트폰이나 PC로 처리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또한 일부 지자체는 ‘찾아가는 디지털 도우미’를 운영해 직접 가정 방문 또는 공공장소에서 실습과 상담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2025년 고령층 디지털 격차 해소 정책은 스마트폰 기초 교육, 디지털배움터, 온라인 행정서비스 활용 지원이라는 세 가지 축을 중심으로 고령층의 디지털 자립을 돕고 있습니다. 생활의 편리함과 정보 접근성을 높이기 위해 거주 지역의 교육 프로그램을 꼭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