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금은 대한민국 고령층의 노후 생활 안정을 위한 핵심 복지 제도입니다. 다만 정부별로 지급 대상과 금액, 추가 지원 방식에서 차이가 있어 정책 변화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번 글에서는 문재인 정부와 이재명 정부의 기초연금 정책을 비교해 어떤 점이 달라졌는지 정리합니다.
문재인 정부의 기초연금 정책
문재인 정부는 2018년부터 기초연금 확대 정책을 본격적으로 시행했습니다. 당시에는 소득 하위 70%의 만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월 최대 25만 원을 지급하다가, 2021년부터는 하위 20% 계층에 한해 월 30만 원으로 인상했습니다. 이후 단계적으로 지급 대상을 넓히려 했으나, 예산 문제로 전면 확대는 이루어지지 못했습니다. 문재인 정부의 기초연금은 금액 인상에 초점을 맞췄지만 모든 노인에게 동일한 혜택을 주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재명 정부의 기초연금 정책
이재명 정부는 노인 빈곤율 해소를 주요 국정 과제로 삼고 기초연금을 더욱 확대했습니다. 2025년 기준, 소득 하위 70% 노인에게 월 30만 원을 지급하며, 특히 저소득층(하위 20%)은 월 40만 원까지 받을 수 있도록 개편했습니다. 또한 기초연금 지급과 연계해 건강관리 서비스, 돌봄 바우처, 교통비 할인 혜택 등 생활 전반을 지원하는 종합 복지 형태로 발전시켰습니다. 즉 단순 현금 지원에서 벗어나 실질적인 생활 안정으로 이어지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입니다.
정책 차이점과 의미
문재인 정부와 이재명 정부의 기초연금 정책을 비교하면 금액 인상 폭과 지원 범위에서 큰 차이가 나타납니다. 문재인 정부는 단계적 인상을 추진했지만 제한적이었고, 이재명 정부는 대상과 금액을 동시에 확대했습니다. 또한 이재명 정부는 기초연금을 다른 복지 서비스와 연계해 노인의 생활 전반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확장했습니다. 이는 단순 소득 보전이 아니라, 건강·돌봄·문화까지 아우르는 종합 복지로의 전환을 의미합니다.
정리하자면, 기초연금은 두 정부 모두 고령층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한 제도이지만, 이재명 정부는 금액 인상과 서비스 연계를 통해 보다 실질적이고 종합적인 지원을 강화했습니다. 앞으로도 정책 변화를 꾸준히 확인해 본인 또는 부모님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적극적으로 챙기시기 바랍니다.
'생활에 힘 되는 정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인 돌봄 정책 비교 (치매국가책임제 vs 이재명 돌봄 확대) (2) | 2025.08.20 |
---|---|
청년 주거지원 정책 비교 (문재인 청년임대 vs 이재명 역세권 주택) (2) | 2025.08.19 |
고령층 반려동물 지원 및 펫테라피 정책 (6) | 2025.08.18 |
고령층 근력 강화 및 건강운동 지원 사업 (5) | 2025.08.18 |
노인 대상 심리·정서 지원 정책 (4) | 2025.08.17 |